3월 23, 2023

골드만삭스, “미국 4개 도시 2008년 때처럼 집값 폭락할 것”

줌(Zoom) 통해 해고 통고 받은 Better.com의 900명 직원들, “황당한 기분”

Pexels

골드만삭스는 2023년까지 금리가 계속 치솟을 경우 2008년의 주택 가격 붕괴와 같이 미국의 4개 도시가 주택가격에 있어서 큰 하락폭을 경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캘리포니아 주의 산호세와 샌디에이고, 텍사스 주의 오스틴 및 애리조나 주의 피닉스는 눈에 띄는 주택가격의 상승을 보인다음 25% 이상으로 주택가격이 급락하게 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예측했다.

4개 도시에서의 주택가격 하락은 2008년도 대침체 당시의 상황과 유사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는 덧붙였다. S&P CoreLogic Case-Shiller 지수에 따르면 당시 미국 전역의 주택 가격은 약 27% 하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 포스트가 골드만삭스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23년 수정된 예측은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023년 3분기에 정점을 찍은다음 금리가 현재보다 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견해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그 예측대로라면 2023년 말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6.5%로 상향 조정될 것이며, 이 증가세는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30bp 증가한 것이다.

2022년 모기지 금리는 3%에서 6%로 상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골드만삭스는 “그렇지만 전국적인 주택차압율이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밝히면서 “산호세와 오스틴, 샌디에고와 피닉스 같은 지역에서의 과열된 주택시장은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25% 이상의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북동부와 남동부 및 중서부의 많은 지역의 주택시장은 약간의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밝히면서, 뉴욕시와 시카고의 집값은 각각 -0.3%와 -1.8%의 소폭 하락을 보일 것이며, 볼티모어와 마이애미는 각각 +0.5%와 +0.8%의 소폭 상승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골드만삭스는 미국경제가 침체를 피하면서 연착륙에 들어서고 30년 고정모기지 금리가 2024년 말까지 6.15%로 떨어진다고 가정할 경우 주택가격 상승은 2024년에 완만한 변동을 보일것이라고 예측했다. 작년 11월 현재 미국의 평균 30년 고정 모기지금리 최고치는 7.37%를 기록했던 것으로 기록되었다.

답글 남기기

×